문자도 자료형이고 숫자도 자료형이다.
여러가지 데이터를 묶어주는 것도 자료형.
과일 100개를 쓰기 위해 변수 100개를 만드는 건 너무나 힘들다.
fruit이라는 거에 다 넣어두면 편하겠지.
♣ 리스트 list. 대괄호<꺽쇠>로 묶는다.
▲리스트 list는 순서가 중요하다.
a_list = ['사과','배','감','수박']
♣ a_list[1] 이것이 출력하는 것? '배'를 출력한다. 코딩은 0부터 세기 때문.
♣ 뭔가 값을 빼거나 추가하고 싶을 때? 쩜어펜드를 쓴다.
a_list.append('딸기')
a_list를 출력하면? ['사과', '배', '감', '수박', '딸기'] 이렇게 나온다.
'개발일지_파이썬for금융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건문if: else: (0) | 2023.03.13 |
---|---|
프로그래밍에서의 함수 - 정의하기def (0) | 2023.03.13 |
list와 dict 같이 쓰기 (0) | 2023.03.13 |
자료형 - 딕셔너리 dict (0) | 2023.03.13 |
Colab 시작 (0) | 2023.03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