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렇게 써볼 수 있다.
a_list = [{'name':'철수', 'age':15}, {'name':'영희', 'age':25}]
리스트는 순서가 중요하다 했으니,
a_list[0]은 {'name':'철수', 'age':15}를 출력하고,
a_list[1]은 {'name':'영희', 'age':25}를 출력한다.
'철수'의 'age'만 뽑는다?
a_list[0]['age']
15만 출력된다.
이렇듯 리스트 안에 딕셔너리가 들어가 있는 형태로 많이 쓰인다.
회원 1000명의 정보를 리스트list로 감싼 다음에, 회원정보를 딕셔너리dict로 담는 것.
'개발일지_파이썬for금융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건문if: else: (0) | 2023.03.13 |
---|---|
프로그래밍에서의 함수 - 정의하기def (0) | 2023.03.13 |
자료형 - 딕셔너리 dict (0) | 2023.03.13 |
자료형 - 리스트 list (0) | 2023.03.13 |
Colab 시작 (0) | 2023.03.13 |